티스토리 뷰

유용한인터넷

카카오톡 백업 - 톡서랍으로 대화백업과 미디어백업을 한방에!!!

황제740206 2020. 9. 21. 18:12
SMALL

휴대폰을 사용하다 보면 여러가지 정크파일들이 생겨서 스마트폰의 속도가 느려지거나 어플간의 충돌로 인해 특정 기능들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이럴때는 공장초기화를 해주거나 앱초기화를 해주면 스마트폰이 초기화가 되어 새폰을 샀을 때와 같이 최적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럴 때 그냥 아무생각 없이 초기화를 해버리면 앱들을 다시 깔 때 해당 앱을 사용하면서 쌓여 있던 데이터가 다 사라져서 당혹스러울 때가 많은데 이럴 때 백업을 안 한것이 가장 아쉬운  어플이 카카오톡입니다.




카카오톡 어플을 지웠다가 다시 설치하는 경우 그 전까지 각 채팅방에서 나눴던 대화의 일부 또는 채팅방 전체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공장초기화나 앱초기화를 하기 전에는 반드시 카카오톡 백업을 해 두고 공장초기화를 하시는 것이 필요한데요.

오늘은 카카오톡 대화내용과 카카오톡 대화방에서 주고 받은 사진이나 음악 또는 동영상과 같은 미디어 파일들을 백업하는 방법과 복원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울러 카카오톡에서 새로운 기능으로 개발한 자동 백업 기능인 톡서랍에 대해서도 알려드릴테니 끝까지 읽어보시고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카카오톡 백업 및 복원방법

먼저 카카오톡 대화내용과 미디어 파일들을 백업하는 방법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 카카오톡 앱을 실행해 줍니다.


메인 화면에서 우측 상단의 톱니바퀴 모양을 눌러서 설정메뉴를 열어주신 후 '전체설정'을 선택해 줍니다.


설정 메뉴중에서 채팅을 선택하신 후에 맨 위에 대화백업을 누르시면 카카오톡 대화백업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럼 대화백업에 대한 안내가 보이는데 대화를 백업한 적이 없기 때문에 백업기록은 없다고 나옵니다. 화면 하단의 노란색 '대화백업'버튼을 눌러주면 대화백업이 진행이 됩니다.

대화백업 버튼을 눌러서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면 백업용 비밀번호를 설정해야 하는데 4~16자리의 숫자와 알파벳 그리고 특수문자로 된 비밀번호를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백업용 비밀번호를 잊어버리는 경우는 복원이 불가능하니 메모를 하거나 꼭 기억하셔서 복원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없으시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카카오톡 대화백업, 복원방법은?

대화를 백업한 후에는 14일 이내에 재설치를 하고 동일한 카카오계정으로 로그인을 해야 복원을 할 수 있다고 하니 반드시 초기화를 하기 전에 백업을 하시기 바랍니다.





백업비밀번호를 설정 후 화면 상단의 '확인'버튼을 눌르면 대화백업이 시작되고 순식간에 대화백업이 완료됩니다.

백업일시가 9월20일이고 14일 후인 10월 4일을 복원 기한으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백업된 채팅방 갯수는 55개나 되지만 백업 데이터 크기는 586KB 밖에 안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백업된 데이터의 크기를 보면 채팅을 하면서 주고 받은 사진이나 동영상, 음악 등의 미디어 파일은 백업이 되지 않았다고 예상할 수 있겠습니다.

그럼 미디어 파일까지 백업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카카오톡에는 대화내용 뿐만 아니라 미디어파일까지 자동으로 백업하는 톡서랍이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톡서랍 이용방법 - 대화내용,미디어파일,연락처 자동백업


설정 -> 채팅 - > 대화/미디어 백업하기를 선택해 주시면 톡서랍 BETA 를 이용하실 수 있는데  아직은 베타버전인 것으로 보이지만 카카오톡 대화내용과 사진, 동영상, 휴대폰 연락처까지 자동으로 보관을 할 수 있는 300GB의 저장공간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그럼 카카오톡 톡서랍을 이용해 보겠습니다. 우선 톡서랍 서비스 이용약관과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동의에 동의를 해주고 화면 하단의 톡서랍 BETA 시작하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톡서랍은 모든 이야기가 자동으로 안전하게 보관이 되며 보관이 되는 데이터는 나만 볼 수 있고 설정한 비밀번호는 어디에도 저장이 되지 않는 보안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설정한 비밀번호는 잊어버리면 찾을 수 없으니 따로 메모를 해 두거나 잊지 않을 수 있는 번호로 설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항상 사용하고 있는 6자리 비밀번호가 있어서 설정을 해주었습니다. 그럼 비밀번호를 인증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비밀번호 보안코드를 이메일로 보내줍니다.

비밀번호 인증을 할 메일 주소를 선택하신 후 다음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럼 선택한 메일 주소로 비밀번호 인증 메일이 도착을 하는데 메일을 확인하시면 '보안코드 확인'이라는 버튼이 보입니다. 

해당 버튼을 눌러주신후 다시 톡서랍을 돌아오셔서 이메일 확인 완료 버튼을 눌러주시면 톡서랍으로 연결이 되며 '지금부터 카카오톡을 안전하게 보관합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화면 하단에 '데이터 보관하기'라는 버튼이 보입니다.




톡서랍에 가입을 하기 전의 데이터는 직접 보관을 해야 하므로 화면 하단의 노란색 '데이터 보관하기' 버튼을 눌러주시면 아래와 같이 지금까지의 대화내용과 미디어파일 그리고 연락처를 저장합니다.


위와 같이 대화내용과 미디어 파일을 백업하는데 앞으로 대화내용은 자동으로 저장이 되며 채팅방을 나가서 채팅방이 사라지게 되면 톡서랍에 저장된 해당 채팅방의 대화내용은 모두 사라지게 되니 채팅방을 나가실 때는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대화내용과 미디어 파일이 모두 백업이 되었습니다. 대화내용은 총 2042개가 백업이 되었고 미디어 파일 545개와 연락처 772개까지 저장이 되었습니다.

이제 앞으로 추가되는 대화내용과 미디어파일 그리고 연락처는 자동으로 톡서랍에 저장이 되기 때문에 언제든지 공장초기화를 하거나 휴대폰을 분실해서 새 휴대폰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 카카오톡을 설치하고 로그인을 하시면 대화내용과 미디어 그리고 연락처를 언제든지 복원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카카오톡 대화내용을 백업하고 복원하는 방법과 대화내용과 미디어파일 그리고 연락처까지 실시간으로 자동 저장이 되는 서비스인 톡서랍의 이용방법까지 알아봤습니다.

톡서랍은 카카오톡을 이용하시면서 새 휴대폰을 구입하셨거나 공장초기화나 앱초기화를 해서 카카오톡을 새로 설치하신 경우 기존의 대화내용과 채팅방에서 주고 받은 미디어파일 그리고 연락처를 복원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LIST
반응형